맨위로가기

후에 황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에 황성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수도였던 곳으로, 1804년에 건축이 시작되어 1880년 프랑스 점령 전까지 정치적, 상징적 중심지였다. 자금성을 본떠 지어졌으며, 1945년 바오다이 황제의 퇴위와 응우옌 왕조 멸망 이후 약탈과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9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까지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다. 황성은 성채, 황성, 자금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화전, 세조묘, 황릉 등 주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에 성 - 응오몬
    응오몬은 1833년 민망 황제 시대에 건설된 베트남 응우옌 왕조 양식의 문으로, 국왕이 군대 이동과 의식을 관찰하는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중국 자금성 오문을 본떠 만들었고, 베트남 전쟁 중에도 보존되었다.
  • 베트남의 궁전 - 독립궁
    독립궁은 과거 남베트남 대통령 관저이자 집무실이었으며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고,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는 노로돔 궁전으로 불렸으며, 베트남 전쟁의 상징적인 장소로 당시 전차와 내부가 보존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 베트남의 궁전 - 주석부 (베트남)
    주석궁은 1906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 관저로 하노이에 건설되었고, 베트남 독립 후 국가 주석 관저로 지정되었으나 호찌민 주석은 손님 접견 용도로 사용했으며, 현재는 정부 회의 장소로 사용되고 부지 관람이 가능하다.
  • 후에의 관광지 - 티엔무 사원
    1601년 응우옌 호앙이 창건하고 응우옌 왕조의 후원을 받은 티엔무 사원은 후에의 상징인 프억 쥬옌 탑과 거대한 종이 있으며, 1963년 틱꽝득 스님의 소신공양과 남베트남 불교 탄압 시위의 중심지였다.
  • 후에의 관광지 - 후에 궁전 박물관
    후에 궁전 박물관은 베트남 후에 황성에 위치하며, 응우옌 왕조 유물과 왕족의 생활상을 전시하고 1923년 카이딘 황제에 의해 설립되어 1845년에 지어진 롱안 궁을 본당으로 사용한다.
후에 황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일반 정보
공식 명칭황성 (皇城)
다른 이름대내 (大內)
경성 (京城)
유형세계유산 (문화유산)
세계유산 등재 정보
공식 명칭후에 기념물 단지 (Complex of Hué Monuments)
포함 요소후에 성채 (황성, 자금성 포함), 왕실 운하, 후에 박물관, 국립 대학, 연심호
위치후에, 베트남
좌표16°28′11″N 107°34′40″E
등재 연도1993년
기준(iv)
지정 번호678-001
면적159.71 헥타르
완충 구역71.93 헥타르
설명
설명후에 황성은 베트남응우옌 왕조 (1802-1945)의 수도였던 후에에 있는 성채 도시이다.
후에 오문
오문에서 깃대 기념물을 바라본 모습

2. 역사

후에 황실 궁정을 묘사한 비단 그림


후에 황성은 1945년 왕정 폐지 이후 약탈과 자연재해, 특히 베트남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2] 궁전 벽에는 총탄 자국이 남아있다.

1947년 반군 점령 후 프랑스군의 반격으로 주요 전각들이 불탔고,[4] 1968년 구정 공세 때 북베트남 군대의 공격으로 황궁은 거의 반파되었다. 미군도 문화재 보존 지시에도 불구하고 시가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혔다.[5]

남베트남 군대와 북베트남 군대의 격전으로 160여 개 건물 중 10개만 남았다.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후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며, 2015년에 주요 복원이 완료되었다.[7]

2. 1. 응우옌 왕조 시대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 阮福暎 완복영)은 1789년 6월 분열되어 있던 베트남을 통일하고 스스로 자롱제로 등극했다. 1802년 6월, 1세기가 넘는 분열과 떠이선 왕조의 멸망 이후, 응우옌 아인이 통일된 베트남의 왕위에 올라 스스로를 자롱 황제라고 칭했다.[1] 홍 강 삼각주에서 메콩 삼각주에 이르는 영토를 갖게 된 자롱 황제는 수도를 북부의 탕롱(현재 하노이)에서 응우옌 군주의 옛 거점인 후에로 옮겼다. 자롱은 "유교와 중국의 통치 모델"을 최고의 권위로 삼았고, 이러한 이념으로 후에에 베이징의 자금성을 본뜬 궁궐 단지 건설을 명령했다.[1] 지관들과의 오랜 상의와 토론을 통해 새로운 황궁과 도시를 건설할 위치를 결정했고, 후에가 적지로 정해지자 1804년 건축이 시작되었다. 수천명의 인부들이 동원되었고, 10km에 달하는 해자, 거대한 벽, 지반들을 지었다. 최초의 토루는 후에 벽돌과 돌로 보강되어 두께가 2m인 성벽이 되었다.[2]

후에 황궁은 자금성을 본떠 만들었지만, 자금성이 완벽한 남향인 반면 후에 황궁은 그 축이 동남쪽을 향해 흐엉강을 바라보게 되어있다. 황궁에는 자금성과 마찬가지로 거대한 궁전, 정원, 누각들이 들어가 있었다. 성은 남동쪽으로 흐엉 강 (향 강)을 향하도록 배치되었다. 이는 정남향으로 배치된 베이징 자금성과는 다르다. 황제의 궁궐을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대신, 황제의 거처는 성의 남동쪽에 치우쳐 강에 더 가깝게 위치해 있다. 이 황성 주변에 두 번째 높은 성벽과 해자가 건설되었고, 그 안에는 일련의 문이 달린 안뜰, 정원, 정자 및 궁궐이 추가되었다.

이 곳은 1880년에 프랑스 군대가 쳐들어와 베트남의 주권을 빼앗기 전까지 베트남의 정치적, 상징적 중심지였다. 또한 응우옌 왕조가 1945년까지 겨우 명맥을 지속할 때까지, 명목상 베트남의 정식 수도였다. 이 전체 단지는 1880년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수립되기 전까지 권력의 중심지였다. 그 후,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선언으로 응우옌 왕조가 쫓겨날 때까지 주로 상징적인 전통을 이어갔다. 바오 다이 황제의 퇴위식은 1945년 8월 30일 황성에서 거행되었다.[3]

1801년에 응우옌 왕조의 창시자인 자롱 황제(지아롱 황제, 재위: 1802년 - 1819년)는 푸춘을 제압하고 응우옌 왕조의 수도로 정했다. 자롱 황제는 보방 양식에 기반한 성곽을 가진 황성 건설을 계획했고, 1805년에 자딘(嘉定府)에 있던 태화전이 후에로 옮겨져 후에 황성 건설이 시작되었다.[8] 응우옌 왕조 시대의 후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킨족 문화에 참 문화를 받아들여 발전해 갔다.[9] 제4대 황제인 뜨득 황제(뜨득 황제, 재위: 1847년 - 1883년)는 광남 응우옌 씨의 정사 『대남실록』 정편을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건축 사업도 대대적으로 행했으며, 현존하는 시내의 왕궁 및 교외의 제릉은 뜨득 연간에 정비되었다.

1883년에 후에는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곳에서 1883년 후에 조약이 체결되었다. 1884년 후에 조약(파트노트르 조약)에 의해 대남이 프랑스의 보호국이 된 후에도, 응우옌 왕조의 황제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까지 황성에 계속 거주했다. 1945년 8월 24일에 황제 바오다이(바오다이 황제, 재위: 1925년 - 1945년)는 퇴위를 선언하고 후를 떠났고, 응우옌 왕조는 멸망했다 (베트남 8월 혁명). 이로 인해 바오다이 황제는 이 황성에 살았던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가 되었다.

2. 2. 공화국 시대

1945년 8월 혁명으로 응우옌 왕조가 멸망한 이후, 후에 황성은 방치와 흰개미 피해, 그리고 여러 차례의 사이클론을 포함한 악천후로 고통받았다. 20세기에 들어 군사적 충돌로 인해 황궁 벽에 총알 자국이 남는 등 인위적인 피해가 가장 컸다.[2]

1947년 월맹이 후에 황성을 점령했을 때 큰 피해가 발생했다. 프랑스는 포위 공격을 가하고 6주간의 전투를 벌여 주요 구조물들을 파괴하는 반격을 가했다. 황궁을 포함한 도시의 핵심부가 불탔다.[4]

1968년 구정 공세 때, 베트남 인민군과 베트콩 병력이 후에를 공격하여 도시 대부분을 점령하면서 후에 황성은 다시 공격을 받았다. 후에 전투 초기, 후에의 종교적, 문화적 지위 때문에 미국 해병대는 폭탄 투하나 포격을 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시가전에서 사상자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제한은 점차 해제되었고 전투로 인해 황성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다.[5] 베트콩은 성채 일부를, 남베트남군은 다른 부분을 점령했고, 연합군 전투기는 공산군이 성채 외부 탑에 설치한 대공포를 표적으로 삼았다.[6] 160개 건물 중 태화전, 건탄전, 세묘, 현림각과 같은 10개의 주요 유적지만이 전투 이후 남아있다.

1993년 후에 황성은 후에 기념물 유적군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아있는 건물들은 복원 및 보존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이자 현재까지 가장 큰 복원 프로젝트는 2015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7]

3. 주요 시설

태화전


태화전 내부


세조묘


태화전(太和殿) 내부


1926년 바오다이 황제 즉위식에서 태화전(太和殿) 앞에서 절하는 관료들


1926년 바오다이 황제 즉위식의 관료들


1909년 후에 황성 지도


응우옌 황제의 옥좌


응우옌 황제의 옥좌


후에 황궁의 태묘(太廟) 앞에서 있는 관료들


황제 거처의 정문인 대궁문(大宮門)

  • 태화전(太和殿): 후에 황성의 정전으로 국사를 논의하던 곳이다. 1805년 자롱제가 처음 지었고 1970년에 재건되었다.
  • 세조묘(世祖廟, Thế Tổ Miếu): 조선종묘처럼 역대 응우옌 왕조 황제들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다.
  • 숭선전(奉先殿, Phụng Tiên Điệnvi): 응우옌 왕조의 황제와 왕비를 모시는 전각이다. 태묘와 달리 궁정 여성들도 참배할 수 있었다.
  • 장생궁(長生宮, Trường Sanh Cungvi): 원래 왕실 정원이었으나, 이후 여러 왕대비와 대왕대비의 거처로 바뀌었다.
  • 연수궁(延壽宮, Diên Thọ palacevi): 응우옌 왕조의 왕대비 또는 대왕대비의 거처였다.
  • Triệu Miếu(肇廟): 응우옌 김(Nguyễn Kim)을 모시는 사당. 응우옌 가문의 시조이자 코친차이나의 첫 영주인 응우옌 호앙(Nguyễn Hoàng)의 아버지로, 1804년에 건립되었다.
  • Thái Miếu(太廟): 응우옌 영주들을 모시는 사당으로, 1804년에 건립되었다.
  • Hưng Miếu(興廟): 응우옌 푹 루안(Nguyễn Phúc Luân)과 응우옌 티 호안(Nguyễn Thị Hoan), 즉 초대 자롱 황제의 부모를 모시는 사당으로, 1804년에 건립되었다.
  • Thế Miếu (世廟): 선황제들을 제사지내던 사당으로, 궁중 여성은 참석할 수 없었다.
  • Phụng Tiên Điện(奉先殿, 퐁 티엔 전): 응우옌 왕조의 황제와 왕비를 모시는 궁궐로, 궁중 여성도 참배가 허용되었다.
  • Hiển Lâm Các(顯臨閣, 히엔 람 각): 1821년 건립, 1822년 완공된 후에 황성 내 제사 구역에 위치한 건물이다. 높이 17m로 황성에서 가장 높으며, 응우옌 황제와 문무 관료들의 업적을 기리는 곳이다.
  • 대궁문(大宮門): 황성으로 들어가는 큰 문으로, 황제만 사용하던 정문이 있다. 1947년 베트민 저항 운동 중 소실되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복원 중이다.
  • 좌무(左廡), 우무(右廡): 각각 문관과 무관을 위한 건물로, 조정 의식 준비, 과거 시험, 궁중 연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1819년에 건설되었다.
  • 근정전(勤政殿): 황제가 매일 조회를 열고 업무를 처리하며 외교 사절을 접견하던 곳이다. 1947년 베트민 저항 운동 중 소실되어 2024년부터 4년 안에 완공될 예정이다.
  • 무현전(武顯殿)
  • 문명전(文明殿)
  • 정명전(貞明殿)
  • 광명전(光明殿)
  • 건성전(乾成殿): 응우옌 왕조 황제의 거처로, 황제 승하 시 관이 안치되었던 곳이다. 1947년 베트민 저항 운동 중 소실되었다.
  • 곤태전(坤泰殿): 황후의 거처였으나 카이딘 시대에 철거되었다.
  • 순휘원(順徽院)
  • 양심원(養心院)
  • 어전 문방(御前文房): 내각 사무실이었다.
  • 육원(六院): 왕실 후궁들의 거처였다.
  • 명신전(明慎殿)
  • 소방원(紹芳園): 1828년 민망 황제 재위 기간에 지어진 황실 정원이다.
  • 기가원(幾暇園): 1837년 민망 황제 재위 기간에 지어진 평화 정원이다.
  • 건충루(建忠樓) (끼엔쭝 궁전): 1923년부터 왕조 말기까지 황제와 가족의 주요 거주 궁전이었다.
  • 태평루(太平樓): 황제의 서재였다.

3. 1. 성문

황성의 부지는 2km2 크기의 요새화된 성벽으로 보호되며, 해자로 둘러싸여 있다. 해자의 물은 일련의 수문을 통해 흐엉 강에서 유입된다. 이 구획은 성채(Kinh thành, 京城)이다.

성채 안에는 길이 약 2.5km의 둘레 벽으로 둘러싸인 황성(Hoàng thành, 皇城)이 있다.

황성 안에는 베이징의 자금성과 동일한 용어인 자금성(Tử cấm thành, 紫禁城)이 있다. 가장 안쪽 구획으로의 접근은 황실 가족으로 제한되었다. 후에 황성은 10개의 문을 가지고 있으며,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문 이름설명
찐 박 문(Chính Bắc gate)황성의 뒷편에 위치해 있으며, 꾸어 허우(cửa Hậu, 뒷문)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떠이 박 문(Tây-Bắc gate)안 호아 문(cửa An Hòa)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이곳에 위치한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찬 떠이 문(Chánh Tây gate)
떠이 남 문(Tây-Nam gate)황성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으며, 꾸어 흐우(cửa Hữu, 오른쪽 문)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찐 남 문(Chính Nam gate)냐 도 문(cửa Nhà Đồ)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그 근처에 자롱 황제 시대에 설립된 무기를 보관하는 창고인 보 코(Vo Kho)가 있었기 때문이다.
꽝 득 문(Quảng Đức gate)
테 년 문(Thể Nhơn gate)응언 문(cửa Ngăn, 막힌 문)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과거에는 황제가 강둑으로 가는 길을 막는 높은 벽이 있었기 때문이다.
동 남 문(Đông-Nam gate)트엉 뜨 문(cửa Thượng Tứ)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황실과 황제의 말을 기르고 훈련시키는 기관인 트엉 뜨(Thuong Tu)원에서 이름을 따왔다. 동시에 황제의 기병대와 마차가 주둔했다. 그래서 이 문은 "트엉"(Thượng, 우월하다, 황제에게 속한다)과 "뜨"(Tứ, 말이 끄는 네 바퀴 마차)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찐 동 문(Chính Đông gate)동 바 문(cửa Đông Ba)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이곳의 주거 지역의 이름이다.
동 박 문(Đông-Bắc gate)께 짜이 문(Cửa Kẻ Trài)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쩐 빈 문(Tran Binh Mon)쩐 빈 다이(Tran Binh Dai, 황성의 북동쪽 모서리에 있는 요새로, 망 까 성채(Mang Ca citadel)라고도 함)와 연결되는 문이다.
동 탄 투이 꽌(Dong Thanh Thuy Quan)응우 하(Ngu Ha) 시스템을 통해 황성과 외부를 연결하는 수로로 된 문중 동쪽에 있는 문이다.
떠이 탄 투이 꽌(Tay Thanh Thuy Quan)응우 하(Ngu Ha) 시스템을 통해 황성과 외부를 연결하는 수로로 된 문중 서쪽에 있는 문이다.


  • 황성 정면 중앙에는 기 대(Ky Dai)라고 불리는 깃발 탑이 있다.

3. 2. 황성 4대문

황성은 둘레가 2.5km인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황성에는 4개의 문이 있는데, 각 문은 다음과 같다.

문 이름한자방향
응오 문午門남쪽
호아빈 문和平門북쪽
쯔엉득 문彰德門서쪽
히엔 냐인 문顯仁門동쪽


3. 3. 외조(外朝)



태화전(太和殿)은 후에 황성의 정전으로, 1805년 자롱제가 처음 지었고 1970년에 재건되었다. 국사 논의, 황제의 공식 접견, 대관식 등이 이곳에서 치러졌다. 정면 9칸 건물로, 내부에는 황금 옥좌, 옥새, 고관대작들의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 태화전(太和殿, Thái Hòa Điệnvi): 1805년 2월 21일에 건축, 1833년 재건 및 이전.
  • 장생궁(長生宮, Trường Sanh Cungvi): 왕실 정원이었으나, 이후 왕대비와 대왕대비의 거처로 사용.
  • 연수궁(延壽宮, Diên Thọ palacevi): 왕대비 또는 대왕대비의 거처.

3. 3. 1. 사당



태화전(太和殿)은 후에 황성의 정전으로, 국사를 논의하던 곳이다. 황제의 공식 접견, 대관식 등이 이곳에서 치러졌다. 1805년 자롱제가 처음 지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전쟁으로 심하게 파괴된 것을 1970년에 재건한 것이다. 정면 9칸 건물로, 내부에는 황제가 사용하던 황금 옥좌가 있고, 전시실에는 황제의 옥새와 고관대작들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1]

세조묘(世祖廟, Thế Tổ Miếu)는 조선종묘처럼 역대 응우옌 왕조 황제들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다. 주요 건물은 현림각(顯臨閣)이며, 황궁 서쪽에 위치한다. '구정'이라 불리는 9개의 청동 솥이 앞에 있는데, 이 솥들은 각각 왕들의 업적을 상징한다. 건물은 도자기로 장식되어 있으며, 동쪽에는 황실에서 사용하던 각종 도구, 담배 파이프, 찻잔, 황실 가족들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이곳에는 역대 황제와 황후들의 신위가 모셔져 있지만, 폐위된 2명의 황제와 방탕한 생활을 하다 프랑스로 망명한 바오다이 황제의 위패는 없다.[1]

  • Triệu Miếu(肇廟): 응우옌 김(Nguyễn Kim)을 모시는 사당. 응우옌 씨 가문의 시조이자 코친차이나(Cochinchine)의 첫 번째 영주인 응우옌 호앙(Nguyễn Hoàng)의 아버지이다. 1804년(가롱 3년)에 건립되었다.[1]
  • Thái Miếu(太廟): 응우옌 영주들을 모시는 사당. 1804년(가롱 3년)에 건립되었다.[1]
  • Hưng Miếu(興廟): 응우옌 푹 루안(Nguyễn Phúc Luân)과 응우옌 티 호안(Nguyễn Thị Hoan), 즉 초대 가롱 황제의 부모를 모시는 사당. 1804년(가롱 3년)에 건립되었다.[1]
  • Thế Miếu (世廟): 조정에서 선황제들을 제사지내던 사당. 궁중의 여성(왕비를 포함)은 이 의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1]
  • Phụng Tiên Điện(奉先殿, 퐁 티엔 전): 응우옌 왕조의 황제와 왕비를 모시는 궁궐. Thế Miếu와는 달리, 이곳에서는 황제와 황후를 함께 모셨으며, 궁중 여성도 참배가 허용되었다.[1]
  • Hiển Lâm Các(顯臨閣, 히엔 람 각): 후에(Hue) 도시 단지에 위치한 건축물. 1821년에 건립되어 1822년(민 망 황제 치세)에 완공되었으며, Thế Miếu와 함께 건축되었다. 후에 황성(Hue Imperial Citadel) 내 제사 구역에 위치하며, 높이 17m로 황성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 응우옌 황제들과 왕조에 공헌한 문관, 장군들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물로 여겨진다.[1]

3. 4. 내조(內朝) (자금성)

자금성은 황제의 집무 공간과 왕실 가족의 거주 공간을 포함하는 내조(內朝) 구역이다.

  • 대궁문(大宮門): 황성으로 들어가는 큰 문으로, 3개의 문이 있으며 정문은 황제만 사용했다. 1947년 2월 베트민 저항 운동 중 소실되어 현재 복원 중이며, 2028년 완공 예정이다.[1]
  • 좌무(左廡)와 우무(右廡): 각각 문관과 무관을 위한 건물로, 조정 의식 준비, 과거 시험(Thi Đình), 궁중 연회 개최 장소로 사용되었다. 1819년 자롱 황제 때 건설되었다.[1]
  • 근정전(勤政殿): 황제가 매일 조회를 열고 업무를 처리하며 외교 사절을 접견하던 곳이다. 왕좌가 놓여 있었고, 수도의 풍경과 지방 지도가 그려진 거울 그림이 걸려 있었다. 베트남 도자기, 왕실 도장 등 응우옌 왕조의 보물을 전시하기도 했다. 1947년 2월 베트민 저항 운동 중 소실되어 현재 복원 중이며, 2024년부터 4년 안에 완공될 예정이다.[1]
  • 무현전(武顯殿)[1]
  • 문명전(文明殿)[1]
  • 정명전(貞明殿)[1]
  • 광명전(光明殿)[1]
  • 건성전(乾成殿): 응우옌 왕조 황제의 거처였다. 황제 승하 시 관이 안치되었고, 도자기, 왕실 도장, 금속 책, 족보, 문서, 지도 등 많은 보물을 보관했다. 1947년 2월 베트민 저항 운동 중 소실되었다.[1]
  • 곤태전(坤泰殿): 황후의 거처였으나 카이딘 시대에 철거되었다.[1]
  • 순휘원(順徽院)[1]
  • 양심원(養心院)[1]
  • 어전 문방(御前文房): 내각 사무실이었다.[1]
  • 육원(六院): 왕실 후궁들의 거처였다.[1]
  • 명신전(明慎殿)[1]

3. 4. 1. 정원

민망(티에우찌 황제) 재위 기간인 1828년에 지어진 소방원(紹芳園, 황실 정원)과 1837년에 지어진 기가원(幾暇園, 평화 정원)이 있다.

3. 4. 2. 누각


  • 건충루 (끼엔쭝 궁전, 1923년부터 왕조 말기까지 황제와 가족의 주요 거주 궁전)
  • 태평루 (황제의 서재)

4. 후에의 황릉

응우옌 왕조의 초대 황제인 자롱제의 무덤은 후에 시에서 남쪽으로 20k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다. 접근성이 좋지 않고 관광객도 잘 가지 않아 당국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무덤은 심각하게 파손되었고 몇몇 구조물들은 아예 없어졌다.

자롱릉


민망 황제(明命帝)의 능은 1840년에 착공하여 1843년에 완공되었으며, 건설에 1만 명의 병사와 노동자가 동원되었다고 한다. 민망 황제가 생전 그의 능 위치를 흐엉강 근처에 있는 자리로 직접 골랐으며, 무덤에는 그의 공적을 새긴 비석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누각이 세워져 있다.[1]
민망릉


티에우찌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3대 황제이다. 7년 동안의 재위 도중 자연재해와 실책이 겹쳐 국민들의 원성이 높았다. 그의 무덤은 크게 사당 영역과 능묘 영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전쟁으로 피해를 심하게 입어 현재 보수작업에 들어가 있다.[2]
티에우찌릉


시내에서 7km 정도 떨어진 반 니엔산에는 응우옌 왕조를 가장 오랫동안 통치했던 뜨득 황제(嗣德帝)의 왕릉이 있다. 뜨득 황제가 살아있던 때에 건설을 시작했으며 살아서는 휴식처로, 죽어서는 영생을 위한 안식처로 삼기 위해 3년 동안에 걸쳐 건설된 곳이다. 주요 건물들은 1864년에 완공되었다. 이 무덤은 워낙 많은 인력과 자금을 필요로 할 정도로 호화롭게 지어져, 백성들의 원망이 자자했고 이로 인해 반란이 일어날 정도였다. 이 곳에서 황제는 배를 타며 유람을 하거나 호수 가운데에 있는 작은 섬에서 작은 동물들을 사냥할 수 있었다. 황제는 이 곳을 자신의 무덤으로 여기고 건설하였으나, 정작 황제의 시신은 도굴을 막기 위해 제3의 장소에 묻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도굴을 막기 위해 비밀 무덤을 만든 인부 200명을 모두 죽여버렸고, 이와 같은 철저한 조치로 인해 아직까지도 뜨득 황제의 진짜 무덤의 행방은 베일에 싸여있다.[3]
뜨득릉


죽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5대 황제이다. 재위 기간이 7달 밖에 되지 않아, 그에게 바쳐진 정식 황릉은 없고, 그는 전대 황제가 만들어 놓은 뜨득 황릉 한켠에 묻혀있다.[4]
죽득릉


동카인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9대 황제이다. 다른 황제들의 능과 마찬가지로 전쟁의 참화를 피해가지 못하였으며, 타 능묘들보다는 규모가 약간 작은 편이다.[5]
동카인릉


카이딘 황제(啓定帝)의 능은 시내에서 10km 떨어진 흐엉투이 시사 투이방사 쩌우쭈 구릉지역에 있으며, 다른 들의 능과는 확연하게 구별되는 형태이다.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무려 10년에 걸쳐 축조된 이 왕릉은 20세기 초 베트남 건축 예술을 대표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베트남유럽 고딕 양식이 혼재되어 있다. 입구에서 36계단을 올라 중앙에 이르면 공덕비와 무덤을 지키는 문무관, 기마, 코끼리 상을 볼 수 있다. 벽과 제단이 도자기와 유리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고 천장에 용 그림이 화려하게 그려져 있다.[6]
카이딘릉

5. 갤러리

《대남일통지(大南一統志)》에 실린 황성의 평면도. 그림은 남쪽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참조

[1] 논문 The Cultural Role of Capital Cities: Hanoi and Hue, Vietnam http://dx.doi.org/10[...] 2005-12-01
[2] 웹사이트 The Citadel http://hueworldherit[...] 2017-01-18
[3] 웹사이트 Bảo Đại trao kiếm giả cho 'cách mạng'? https://www.bbc.com/[...] 2015-09-04
[4] 뉴스 Hue Journal; Vietnam Slowly Restores Imperial City With a Grim Past https://www.nytimes.[...] 2004-02-16
[5] 서적 U.S. Marines in Vietnam: 1968, the Defining Year https://archive.org/[...]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USMC
[6] 웹사이트 AP WAS THERE: The Vietnam War's Tet Offensive {{!}} WTOP https://wtop.com/asi[...]
[7] 웹사이트 Vietnam to spend 61 million dollars to restore Hue royal citadel http://www.vietnamon[...] 2012-07-26
[8] 간행물
[9]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